본문 바로가기

질병 질환 이야기21

전립선 비대증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BPH) 전립선 비대증(BPH)이란? 전립선 비대증은 과거에는 전립선이 비대해져 방광 하부의 소변이 나오는 통로를 막아 요도 폐색을 일으켜 소변의 흐름이 감소된 상태를 말하며, 조직학적으로는 전립선 간질이나 전립선의 상피조직 세포가 증식된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 사실상 이와 같은 정의나 개념으로 설명하기에는 질병의 병태 생리가 너무 복잡하여, 현재 '50세 이상의 남성에서 하루 8회 이상 소변을 보는 빈뇨, 야간 빈뇨, 강하고 갑작스러운 요의(오줌이 마려운 느낌)를 느끼면서 소변이 마려우면 참을 수 없는 절박뇨 등의 방광 저장 증상과 지연뇨(소변을 볼 때 뜸을 들여야 소변이 나오는 현상), 단절뇨(소변의 흐름이 끊기는 현상), 배뇨 시 힘을 주어야 하는 현상 등 방광의 배출 장애를 나타내는 증상을 통칭한 하부 요.. 2024. 4. 3.
과민성 방광 (Overactive Bladder) 국제 요실금학회 정의에 의하면 과민성 방광은 요로 감염이 없고 다른 명백한 질환이 없으면서 절박성 요실금이 있으면서 빈뇨와 야간뇨(야간 수면 시간에 배뇨를 하는 것)가 동반되는 경우로 정의한다. 나이가 들수록 유병률과 증상의 심각도가 증가하며, 과민성 방광의 증상은 대부분의 환자에서 수년간 지속된다. 폐경 후의 상태는 여성의 과민성 방광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다. 우울증, 심장질환, 관절염, 고혈압, 양성 전립선 비대증, 신경학적 상태, 전립선염, 이동제한, 재발성 요로감염증(UTI, urinary tract infections )과 같은 질병이 남성의 과민성 방광의 예측인자이다. 여성의 경우 우울증, 과민성 장증후군, 신경학적 상태, 관절염, 수면무호흡증, 재발성 요로감염증 모두 과민성 방광과 관련될 .. 2024. 4. 2.
신장질환 막증식토리콩팥염 MPGN (Membranoproliferative glomerulonephritis) 막증식토리콩팥염(MPGN)이란? Membranoproliferative(막증식)이란 병명에서 알 수 있듯이 사구체기저막(membrane)이 두꺼워지고 사구체간질(mesangium)이 증식하는 사구체신염. Mesangium이 증식해 lobolar한 모양을 보인다고 해서 lobular glomerulonephritis라고도 한다. 핵심적 병태생리: Complement activation → 염증 발생 ①Ig Medicated: Ag-Ab complex 형성 (Type I) → Classic complement pathway activation (C3, C4 모두 감소) ②Non Ig Mediated: C3 nephric factor (Type II), Complement receptor deficiency .. 2024. 4. 2.
당뇨와 혈당측정기 당뇨란? 인슐린의 분비량이 부족하거나 정상적인 기능이 이루어지지 않는 등의 대사질환의 일종으로, 혈중 포도당 농도가 높은 것이 특징인, 이미 대중들에게 잘 인지되어 있는 만성질환이다. 고혈당으로 인하여 여러 증상 및 징후를 일으키고 소변에서 포도당을 배출하게 되어 당뇨 (糖尿, 포도당이 많이 섞여 나오는 병적인 오줌)이라고 명명하게 되었다. 당뇨병은 제1형과 제2형으로 구분되는데, 제1형 당뇨병은 이전에 '소아 당뇨병'이라고 불렀고, 인슐린을 전혀 생산하지 못하는 것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질환이다. 인슐린이 상대적으로 부족해 발병하는 제2형 당뇨병은 인슐린 저항성(insulin resistance; 혈당을 낮추는 인슐린 기능이 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제2형 당뇨는 식습관, 운동 부족, 스트레스 등 .. 2024. 4.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