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질병 질환 이야기21

섭식장애를 도와주는 개선 습관 현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이라면 '다이어트 강박증'이라는 걸 한 번쯤은 느끼고 살아가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영상물이나 화보 속에 나오는 길고 날씬한 사람들과 그게 걸맞은 멋진 패션을 보고 있노라면 보잘것없는 내 체형이 한없이 싫어지기도 한다.  이런 사람들의 심리를 건들이며 온갖 다이어트 관련 제품이 나오고, 날씬한 몸매에 대한 강렬한 소망이나 강박증은 결국 무리한 다이어트로 이어지게 된다.  물론 비만을 주의 경계해야 하고, 평생 식단관리와 적절한 운동은 필수적이다. 심각한 비만은 다른 만성 질환으로 이어지고, 나 역시 비만을 질병으로 접근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 따로 포스팅한 바 있다. https://soapwater.tistory.com/16 비만을 질병으로 접근하는 이유비만이란? 비만은 건강에 악영.. 2024. 5. 17.
근시, 원시, 난시가 동시에? 원인과 치료, 눈건강 꿀팁 7가지 요즘 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영향으로 시력이 나빠지고 있다는 걸 실시간으로 느끼게 된다.  시력이 나빠졌다는 의미는 근시, 원시, 난시라는 굴절 이상이 있기 때문에 발생한다. 그렇다면 근시, 원시, 난시의 차이점은 무엇일까?  근시, 원시, 난시란?근시란 가까운 곳이 잘 보이고 먼 곳이 잘 안 보이는 눈을 말한다. 즉 눈 밖에서 들어오는 평행 광선이 각막이나 수정체를 통과할 때 빛이 굴절해서 망막 앞에 상이 맺히는 것이다. 눈이 건강하면 상이 망막 위에 생겨져 잘 보이지만 근시에서는 망막까지 도달하지 못하고 그 앞에 초자체내에 초점이 맺히게 된다.각막에서 망막까지 길이가 정상적인 눈 보다 길거나 수정체의 굴절력이 너무 강할 때 근시가 생긴다.고도 근시일 경우 안구의 길이가 늘어나면서 망막도 늘어나 망막 .. 2024. 4. 26.
파킨슨병 파킨슨 병이란? 파킨슨병은 뇌간의 중앙에 존재하는 뇌흑질의 도파민계 신경이 파괴됨으로써 움직임에 장애가 나타나는 질환을 말한다. (도파민: 중요한 신경전달계 물질로, 뇌의 기저핵에 작용하여 우리가 원하는 대로 몸을 정교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파킨슨병의 증상은 뇌흑질 치밀부의 도파민계 신경이 60~80% 정도 소실된 후에 명확하게 나타난다. 병리 검사를 시행하면 뇌와 말초신경의 여러 부위에 발병성 알파시누클레인 단백질이 침착되어 생긴 루이소체를 확인할 수 있다. 파킨슨병은 알츠하이머병 다음으로 흔한 퇴행성 뇌 질환으로 60세 이상에서 1%의 유병률을 보인다. 파킨슨의 증상은 1차 및 2차 증상 또는 운동과 비운동으로 분류할 수 있다. 운동 증상은 질병의 가장 중요하고 눈에 띄는 특.. 2024. 4. 15.
폐동맥 고혈압 (Pulmonary hypertension) 폐동맥고혈압은 심장에서 폐로 들어가는 혈관인 폐동맥이 좁아지고 압력이 증가하는 상태를 말하며, 국내에 약 5,000명의 환자가 있을 것으로 추산되는 대표적 희귀 난치성 질환이다. 원발성 폐동맥고혈압은 대부분 원인이 알려져 있지 않다. 일부의 경우 식욕 억제제의 복용, 에스트로겐 및 피임약 복용 등이 추측되고 있다. 한편 유전적 요인도 일부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원발성 폐동맥고혈압에서 혈압이 상승하는 원인은 폐혈관이 좁아지는 것이다. 혈관이 수축되거나, 혈관 내 혈액이 응고되어 혈관을 막거나, 혈관을 구성하는 세포들이 자라나 혈관벽이 두꺼워지면 혈관이 좁아진다. 이러한 변화는 굵은 혈관보다는 지름 1mm 이하의 작은 혈관에서 발생하며, 폐 전체에 걸쳐 발생한다. 굵은 혈관의 일부가 좁아진 것이라면 수술로.. 2024. 4.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