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토피 피부염이란?
아토피 습진으로도 알려진 아토피 피부염 (Atopic dermatitis, AD)은 만성, 소양증, 재발성 염증성 피부과 질환이다. 이 질환은 보통 유아기와 어린 시절에 시작되지만 성인기까지 지속되거나 시작될 수 있다. 이 질병의 정확한 원인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후생 유전학적, 유전적, 면역학적, 환경적 상호작용과 중복되는 피부 장벽 결함이 있는 특정 요인이 발병기전에 표시된다. 이 질병은 환자와 가족의 삶의 질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이는 심각한 사회경제적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 각질 세포의 파괴를 일으키는 Th22와 Th2 사이토카인의 불균형은 AD 발병을 이끄는 중요한 기여 요인으로 여겨진다. 또한 표피 장벽 단백질인 필라그린의 돌연변이로 인한 손상된 피부 장벽 기능은 미생물과 알레르겐의 침투를 증가시킴으로써 AD의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증상
이 질병의 증상은 가려움, 건조한 피부, 그리고 나타났다가 사라지는 것을 반복하는 붉은 발진을 포함한다. 이러한 발진은 신체의 어느 곳에서나 형성될 수 있지만, 패턴은 나이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유아의 경우, 발진은 주로 두피, 얼굴, 손, 그리고 발에서 발생한다. 어린 시절에, 발진은 보통 무릎과 팔꿈치의 굴곡 안쪽, 그리고 목의 앞부분에서 관찰된다. 청소년과 성인의 경우, 발진은 무릎과 팔꿈치의 주름과 더불어 일반적으로 눈꺼풀, 발목, 그리고 손목에 발생한다.
위험 요소
아토피 질환의 가족력과 프로필라그린을 암호화하는 필라그린 유전자의 기능 상실 돌연변이는 질병 발병과 관련된 두 가지 주요 위험 요소이다. 또한 AD를 가진 사람은 류머티즘성 관절염, 염증성 장 질환 및 탈모증과 같은 다른 염증성 질환에 더 취약하다. 우울증 또는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와 같은 정신 질환 또는 행동 장애가 이 질병과 관련이 있으며 AD 환자는 종종 음식 알레르기, 기관지 천식 및 알레르기 비염도 있다. 또한 AD는 심각한 피부염, 다중 알레르기(multiple allergies), 대사 낭비 증후군(metabolic wasting syndrome), 면역 조절 장애, 다내분비병증(polyendocrinopathy), 장병증 X-연결 (IPEX) 증후군(enteropathy X-linked (IPEX) syndrome ) 및 네덜란드 증후군(Netherton syndrome)을 포함한 다른 질환의 결과일 수 있다.
진단
확정적인 진단 검사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AD의 진단은 임상적이며 과거의 특징, 피부 병변의 형태와 분포, 관련 임상 징후를 기반으로 한다. 피부과 의사는 징후나 증상이 있는지 피부를 검사하고 진단을 내리기 위해 병력과 가족력을 검토한다. 때로는 알레르기를 찾기 위해 패치 테스트(patch test)가 권장된다. 진단을 위해서는 IgE 수치 증가 및 아토피 질환의 가족력과 같은 다른 뒷받침하는 특징과 함께 소양증 및 피부 병변이 있어야 한다.
Topical Treatment
국소 제제는 경도-중등도 AD의 일차 치료제로 고려된다. 여기에는 국소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및 국소 칼시뉴린 억제제가 포함된다.
국소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이 약제들은 억제 단백질을 유도하여 염증 매개자 활동을 감소시킴으로써 피부 염증 및 소양증과 같은 AD 증상을 조절하는 데 효과적이다. 국소 코르티코스테로이드는 경증, 중등증, 강한 것을 포함한 다양한 효능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적절한 약제를 선택할 때 효과를 높이고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 병변의 심각도와 신체의 병변 피부 면적과 같은 여러 요인을 고려해야 한다. 위축의 위험 때문에 매우 높은 효능 스테로이드 사용은 단기간으로 제한된다.
국소 칼시뉴린 억제제: 이 약제들은 국소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치료의 대체 치료법으로 간주된다. 국소 칼시뉴린 억제제는 T 세포와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억제하여 AD의 염증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하는 비스테로이드성 면역 조절제이다. 프로토픽(타크롤리무스)과 엘리델(피크롤리무스)은 경증에서 중등도의 AD 치료를 위해 FDA에서 승인한 두 가지 국소 칼시뉴린 억제제 치료법이다.
Topical phosphodiesterase 4 (PDE4) inhibitors 국소 포스포디에스테라제 4 (PDE4) 억제제: Eucrisa (crisaborole)는 2세 이상의 환자에서 경증에서 중등도의 AD에 대해 FDA 승인을 받은 1일 2회 국소 치료제이다. 제한된 효능으로 인해 PDE4 억제제는 국소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및 국소 칼시뉴린 억제제의 대체제로 사용된다. 2% 국소 연고로 승인된 Eucrisa는 사용 기간에 특별한 제한이 없으므로 장기 유지 요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Topical Janus kinase (JAK) inhibitor : AAD 가이드라인에서 12세 이상의 환자에서 Opzelura 1.5% 크림은 경도-중등도 AD의 단기 및 비연속 치료로 사용할 수 있다고 명시하고 있다. 전신 흡수를 제한하기 위해서는 주 60g 이하를 적용해야 하며, 치료 면적은 20%의 체표면적을 초과해서는 안 된다. 국소 제제 및 이러한 제한에도 불구하고 약물은 주요 심혈관계 이상 사건, 혈전증, 심각한 감염, 사망률 및 림프종과 같은 악성 종양에 대한 이상 반응이 보고된 바 있다.
Systemic Treatment
Broad-acting immunosuppressants: 국소 치료만으로 관리하기 어려운 중증 AD를 가진 성인 환자는 전신 면역 억제 요법이 필요하다. 사이클로스포린 (Cyclosporine), 전신 코르티코스테로이드 (systemic corticosteroids), 메토트렉세이트 (methotrexate), 마이코페놀레이드 모페틸 (mycophenolate mofetil), 아자티오프린 (azathioprine)은 성인 AD 치료에 사용 가능한 비생물학적 전신 약제 중 하나로, 이러한 면역 억제제는 염증 세포의 수뿐만 아니라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유전자 발현을 감소시킨다. 경구 코르티코스테로이드는 중증 AD 치료에 사용될 수 있지만 여러 위험 요소로 인해 단기간에만 사용해야 한다.
Oral JAK inhibitors: 경구 JAK 억제제는 중등도에서 중증 AD 환자를 위한 또 다른 치료 옵션이 될 수 있다. 이들은 AD와 관련된 염증 과정에 관여하는 경로를 매개하는 야누스 키나아제(Janus kinase)라는 효소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작용한다. 그러나 JAK 억제제는 심혈관계 안전 문제에서 자유롭지 못하기 때문에 고령 환자나 혈전증 병력이 있는 환자는 복용이 제한된다.
Biologic 생물학적 제제는 특정 염증성 매개체를 표적으로 하는 데 사용된다. 듀피젠트 (Dupixent, dupilumab)는 국소 치료제에 반응하지 않는 중등도에서 중증의 성인 환자의 치료를 위해 FDA에 승인된 첫 번째 생물학적 제제였다. 인터류킨 4 (IL-4) 수용체에 결합하여 AD의 발병기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IL-13 및 IL-4 신호 전달을 방해한다. 더 최근에는 IL-13 사이토카인을 표적으로 하는 항체인 Adbry (tralokinumab)도 승인을 받았다.
그리고 줄기세포를 기반으로 한 치료제를 여러 회사가 개발 중이다. 지금까지의 아토피 치료제가 증상의 개선을 위한 치료제였다면, 아토피 피부염의 근본 치료가 가능할 것인가 기대를 해볼 수 있는 개발 영역이다.
이중 강스템바이오텍에서 현재 임상 3상 중인 아토피 피부염 치료제 '퓨어스템-에이디주'는 탯줄 혈액 내 줄기세포인 '제대혈 줄기세포'를 사용했는데, 이 세포는 가장 어리고 노화를 겪지 않은 줄기세포로 알려졌다. 강스템은 고순도로 분리하고 배양할 수 있는 기술을 확보해 면역 거부 부작용이 없고 대량 생산까지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출시가 된다고 하더라도 세포 활성 유지를 위한 유통망이나 세포의 활성 유지 시간이 짧은 단점 등 극복해야 할 과제가 많다
'질병 질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RSV (Respiratory Syncytial Virus) 감염 (0) | 2024.03.22 |
---|---|
식이/섭식 장애 (Eating Disorder) (1) | 2024.03.22 |
전립선암 이야기 (0) | 2024.03.21 |
방사성 의약품 시장 (0) | 2024.03.20 |
폐암에 대한 이야기 (0) | 2024.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