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SV (Respiratory Syncytial Virus)란?
파라믹소바이러스과(Paramyxoviridae) 계통의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RSV)는 enveloped, non-segmented, 음성, 단일 가닥의 RNA virus이다. 유아 세기관지염의 주요 원인인 흔한 호흡기 바이러스이며, 소아 급성 하기도 감염의 모든 에피소드의 22%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거의 모든 어린이가 생후 2년 이내에 RSV에 감염되며, 감염의 약 0.5~2.0%가 입원하게 된다. 또한 RSV 감염으로 인해 미국에서 약 177,000명의 노인이 입원하고 연간 14,000명이 사망하는 등 면역 억제 성인과 노인의 질병의 주요 원인으로 인식되고 있다.
증상
RSV 감염은 바이러스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정도의 중증도를 가진 다양한 증상을 유발한다. 감염은 고령인 환자와 기저 질환이 있는 환자에서 중증도가 증가할 가능성이 더 높다. RSV의 증상은 경미하게 나타나는 경우, 콧물, 기침, 발열 및 두드러기를 포함한 일반적인 감기와 구별하기 어렵다. 증상이 심한 경우, RSV 감염은 폐 내 작은 기도의 염증인 기관지염 및 폐렴과 같은 추가적인 질환을 유발한다.
감염
RSV는 감염자와 직접 접촉하거나 감염자가 기침이나 재채기할 때 전파되는데 비말 속 바이러스가 다른 사람의 눈, 코, 입 등에 닿으면 감염된다. 감염자는 감염 후 보통 3~8일 정도 전염성이 있으나 영유아나 면역력이 떨어지는 사람은 길게는 4주까지 바이러스를 전파할 수 있다.
위험 요소
RSV는 접촉을 통해 전염되기 때문에 사람이 많은 곳에서 시간을 보내는 것은 감염의 위험을 심하게 증가시킨다. 가장 높은 위험 그룹은 영유아(1세 미만) 및 노인들이다. RSV는 건강한 성인들에게 가벼운 증상을 일으키지만, 1세 미만의 유아들은 기관지염과 폐렴을 포함한 더 심각한 감염에 더 자주 걸린다. 또한 면역 체계가 약하거나 만성 질환이 있는 어린이와 성인들은 감염될 위험이 증가한다.
예방
예방 전략은 감염자와의 접촉을 피하고, 표면을 만진 후 비누와 물로 손을 씻는 것, 사람이 많은 곳에서 보내는 시간을 제한하는 것, RSV의 확산을 막기 위해 입을 가리고 마스크를 쓰는 것 등 일반 감기와 유사하다.
위험군에 속한 유아들은 중증 RSV 질병을 예방하기 위해 RSV 시즌 동안 아스트라제네카의 시나지스 (Synagis) 주사제를 수동 예방접종을 받을 수 있다. 또한 미국에서는 CDC가 첫 RSV 시즌에 진입하는 유아와 어린이에게 사용할 수 있도록 사노피/아스트라제네카의 베이포투스(Beyfortus) 1회 접종을 권장하고 있으며, 60세 이상의 성인에게는 환자와 의료 제공자 간의 공유된 임상 의사 결정 프로세스의 일환으로 백신 1회 접종(아렉스비/Arexvy 또는 에이브리스보/Abrysvo)을 투여할 수 있다. 임산부의 경우 미국에서는 이전 RSV 감염과 관계없이 9월에서 1월 사이에 임신 32~36주 사이의 여성에게 에이브리스보 1회 접종이 권장된다. 하지만 시나지스를 제외한 나머지 제품은 아직 우리나라에 출시되기 전이다.
예방접종 지침
RSV에 대한 예방 지침은 미국과 EU 간에 유사하지만, 유럽 국가 간에 유아의 팔리비주맙(palivizumab) 예방 사용에 약간의 차이가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 가이드라인은 RSV의 확산을 줄이기 위한 위생 권고뿐만 아니라 신생아 병동의 감염을 피하기 위한 엄격한 행위 절차를 포함한 예방 조치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 생후 12주 미만, 미숙아(29주 이전), 기관지폐이형성증(BPD, bronchopulmonary dysplasia)이나 CHD (선천성 심장질환, congenital heart disease)를 가진 경우 중증 질환 여부를 검사하는 것이 좋다.
- CLD(만성 폐질환, chronic lung disease) 또는 CHD가 없는 조기 영아 – 29주 이전 출생한 12개월 미만의 영아에게는 Synagis (palivizumab) 예방을 권장한다. 미숙아에게는 다른 질환이 없는 한 12개월 이후에는 Synagis 예방을 권장하지 않는다.
- CLD를 가진 미숙아(32주 이전 출생)는 생애 첫 해 동안 Synagis 예방을 고려해야 한다.
- 중대한 CHD를 가진 12개월 미만의 유아에게 예방을 권장한다.
- 면역력이 저하된 소아 또는 낭포성 섬유증이 있는 소아에게 예방을 고려할 수 있다. 이 위험군에 대한 데이터는 제한적이므로 palivizumab은 일상적으로 권장되지 않는다.
- 예방접종은 11월부터 3월까지 매월 15mg/kg 용량으로 5회 투여한다.
- 생후 2년 차: 생후 2년 차에는 32주 이전에 태어난 미숙아가 산소, 스테로이드 또는 기관지 확장제를 보충해야 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예방을 권장하지 않는다.
'질병 질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면장애 (불면증) 이야기 (0) | 2024.03.26 |
---|---|
미만성거대B세포림프종 (DLBCL) (0) | 2024.03.22 |
식이/섭식 장애 (Eating Disorder) (1) | 2024.03.22 |
전립선암 이야기 (0) | 2024.03.21 |
아토피 피부염 (0) | 2024.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