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 금융공부

토스 세이브잇 환급 받는 법 알아보기

by 비눗물 2024. 6. 1.
반응형

 

근로 외 소득이 없어 늘 연말정산으로 세금정산을 마무리짓던 직장인이었는데, 얼마 전 주식 투자를 제대로 시작하면서 세금 환급 서비스에 대해 알아보았다. 

 

종합소득세 (일명 종소세)에 대한 개념도 제대로 잡혀 있지 않았던 나에게 국세청에 어떻게 신고를 해야 하는 건지 몰라 헤맬 뻔했는데, 역시 세상은 매우 편리해져 이런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들이 많이 출시되어 있었다.

 

먼저 종합소득세 신고란?

직장인들이 연말정산 하는 것처럼 사업자, 프리랜서와 같은 직종에서 본인의 소득을 신고하는 개념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하지만 직장인 중에서도 연말 정산에 신고하지 않은 근로 외 소득이 발생한 자도 포함된다는 점!!

 

신고기간은?

- 정기신고: 전년도 소득기준 매해 5/1~5/31

- 기한 후 신고: 정기 신고기간이 지나도 5년 이내에는 신고 가능함. 단, 가산세가 부과된다.

신고를 하면 더 세금을 납부해야 하냐? 아니면 환급받느냐?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이번에 처음으로 알아낸 것이 있었다. 

그것은 바로 경청청구!!!

 

경청청구란 최근 5년 이내 과징수된 세금을 돌려받기 위해 정정신고를 하는 제도이다. 이때 연말정산, 종소세 모두 청구 가능한데,  이러한 세금 환급 서비스 플랫폼에서 토스세이브잇만 '경청청구' 서비스가 가능하다. 토스가 택사스소프트를 인수해 자회사로 두고 이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기사에 나왔다.

 

세금은 매일 써야 할 금융서비스는 아니지만, 금융 생활에서 반드시 마주치는 영역이고 개인이 스스로 해결하기엔 전문성이 필요한 복잡한 영역이기 때문에 이런 불편과 문제를 쉽게 해결해 줄 수 있는 앱이 나왔다는 것은 정말 환영할만한 일이다.

 

여기서 난 생각지도 못하게 2020년에 환급받아야 할 금액 25만원을 받게 되었다.

 

사용법도 매우 직관적이고 간단하다. 

토스 앱 하단 메뉴에서 맨 오른쪽에 위치한 '전체'를 눌러주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뜬다. 여기서 '납부' 메뉴를 눌러준다.  

 

그럼 아래처럼 '세금납부' 항목이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세금납부 항목을 클릭!

 

내 정보제공 동의를 해준 뒤 신고절차를 마무리하면 연도별로 내가 납부해야 하는 (혹은 환급받아야 하는) 금액이 나온다. 그리고 절차를 진행 요청하면 소정의 수수료를 떼고 세금신고를 알아서 다 마무리해 준다. 

 

 

토스가 이런 세금 환급 서비스에 나선 것은 새로운 고객층을 유입하기 위한 수단이라기 보다는 기존 이용자층의 결집을 위해서라고 한다. 토스의 경우 이미 약 1,900만 명의 대규모 월활성사용자수(MAU)를 보유하고 있다. 결국 기존 토스 사용자와 토스뱅크의 주요 고객군인 개인사업자에게 또 다른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이번 세금 환급 서비스의 목적이라고 하는데 이런 세금 정책이나 법률에 대해 모르는 나로서는 너무 감사한 서비스이다. 

 

 

납부해야 할 세금은 확실히 납부하고, 환급받을 세금이 있다면 즐겁게 환급받기!

다음 달 쯤 입금된다고 하는데 두근거리는 마음으로 기다려봐야겠다. :D

 

 

 

 

반응형